메뉴 건너뛰기

애니뉴잉

유머 게시판

중국 로봇 청소기 구매 금지

ND 2025.07.03 19:08 조회 수 : 8

韓 소비자 정보 빨아들이는
'차이나 가전' 공포

로보락 "中서 직접 수집·처리"
민감한 정보 유출 우려 커져

사진=뉴스1

사진=뉴스1

국내 로봇청소기 시장의 절반가량을 장악한 중국 기업 로보락이 한국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중국에서 수집·처리해온 것으로 확인됐다. 지난 2월 개인정보 유출 우려가 불거지자 “한국 고객 데이터가 중국에 전송되는 일은 없다”고 해명했지만, 3월 말 개인정보 처리 방침을 개정하면서 중국에서 수집·처리한다는 내용을 추가했다. 한국 소비자 사이에서 “민감 정보가 중국에 유출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확산하고 있다.

2일 산업계에 따르면 로보락은 지난 3월 31일 스마트폰 앱의 개인정보 처리 방침을 업데이트하면서 ‘서비스 제공을 위해 귀하의 개인정보를 중국에서 직접 수집해 처리하고 있다’는 조항을 넣었다. 직전 방침(2024년 10월 22일 시행)에 적시된 ‘미국 데이터센터에서 한국 고객의 데이터를 수집한다’는 문구는 빠졌다. 로보락의 무선 청소 기능을 100% 활용하려면 반드시 스마트폰에 앱을 깔고 회원으로 가입해야 한다.

한국 소비자들은 맘카페 등을 중심으로 우려를 쏟아내고 있다. 카메라가 달린 로봇청소기가 집안 곳곳을 훑고 다니는 만큼 단순 정보를 넘어 영상 데이터도 수집할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중국 데이터보안법에 ‘정부가 국가 안보를 이유로 데이터를 수집하면 기업은 협조해야 한다’는 규정이 있는 것도 우려를 높이는 대목이다.

로보락은 이와 관련해 “중국 본사가 데이터 수집을 총괄한다는 의미일 뿐 실제 소비자 데이터는 미국 아마존 데이터센터에 저장된다”며 “로봇청소기가 수집하는 영상 데이터 등은 서버가 아니라 기기에 암호화한 상태로 저장되는 만큼 외부 정보 유출을 걱정할 필요가 없다”고 강조했다.

中 레드테크, 韓 소비자 정보 전방위 수집
"국내 데이터 저장 의무화하는 개인정보보호 규정 강화해야"

카메라, 센서, 자율주행 기능을 내장한 로보락 로봇청소기는 요즘 신혼부부와 주부 사이에서 ‘필수 가전’으로 불린다. 로보락은 지난해 5000억원 규모로 커진 국내 로봇청소기 시장의 46.5%(상반기 기준)를 점령한 1위 업체다. 단순 계산으로 작년 한 해에만 25만 대(평균 가격 100만원 가정)에 달하는 로보락 제품이 한국 가정집으로 들어갔다는 의미다.

보안 우려가 제기되는 중국 기업은 로보락뿐만이 아니다. 샤오미, TCL, BYD, 알리, 테무 등 중국산 브랜드가 한국에 동시다발적으로 진출하면서 개인정보 유출 우려가 커지고 있다. 업계에선 한국 내 데이터 저장을 의무화하는 등 개인정보보호 규정을 강화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외부 업체에도 개인정보 공유

[단독] 中 로봇청소기 어쩐지 찝찝하더라…결국 터질 게 터졌다이미지 크게보기

로보락 앱은 카메라, 마이크, 블루투스 등을 이용할 때 사용자 ‘동의’를 얻어 기능을 활성화한다. 이용자가 동의하지 않으면 제품을 제대로 쓸 수 없다. 로보락은 지난 5월 업데이트한 이용약관에서 “계약이나 일부 조건에 동의하지 않을 경우 즉시 앱 사용을 중단해야 한다”고 명시하고 있다.

로보락은 한국 진출 2년 만인 2022년 한국 로봇청소기 시장 1위(점유율 25%)에 올랐다. 50만원 이상 프리미엄(최고급) 라인에서는 60~70%에 달하는 압도적 점유율을 기록하고 있다.

소비자들이 불안감을 표출하는 이유는 개인정보를 중국 등 국외로 반출하는 사실이 알려져서다. 로보락의 최신 개인정보 처리 방침에 따르면 로보락은 ID, IP주소, 기기 정보 등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중국 항저우에 본사를 둔 사물인터넷(IoT) 업체 투야와 공유할 수 있다고 명시하고 있다.

투야는 2021년 미국 상원의원들이 개인정보 유출 가능성을 이유로 미국 재무부에 제재를 요청한 기업이다. 상원의원들은 재무부에 보낸 서한에서 “안보·보안 전문가들은 투야의 개인정보 보호 미흡에 심각한 우려를 표했다”며 “중국 공산당이 투야에 미국 개인정보를 요청할 경우 이 지침을 따라야 한다”고 적었다.

이에 대해 로보락은 “영상과 지도 등 민감한 데이터는 기기 내 암호화된 상태로 처리되며, 서버에 별도로 저장되지 않는다”고 했다.

◇커지는 중국산 보안 논란

중국산 제품의 보안 우려가 커진 것은 최근 개인정보 유출 사건이 빈번한 것과 무관하지 않다. 중국 해외직구 서비스인 테무는 국내 이용자의 개인정보를 무단으로 국외 이전한 사실이 조사 결과 밝혀졌다. 개인정보보호위원회는 지난달 테무에 13억6900만원의 과징금을 부과했다.

 

 



조사 결과 테무는 상품 배송을 위해 한국과 중국, 싱가포르, 일본 등 다수 국가의 사업자에게 개인정보 처리를 위탁하거나 보관하고 있었다. 하지만 이 같은 사실을 개인정보 처리 방침에 공개하거나 이용자에게 알리지 않았다. 앞서 알리익스프레스도 법적 근거 없는 개인정보 국외 이전 등으로 과징금 19억7800만원을 부과받았다.

중국 기업 대부분은 로보락처럼 한국에 데이터센터를 두지 않고 있다. 본사가 있는 중국에 한국 소비자 개인정보가 저장될 가능성이 높다는 얘기다. 개인정보가 수집 목적과 무관하게 악용될 여지도 있다. 로보락의 최근 개인정보 처리 방침을 보면 “개인정보 처리 활동이 공익, 과학 및 역사 연구 또는 통계 목적을 기반으로 하는 경우 원래 수집 목적과 무관하게 추가로 처리된다고 하더라도 관련 데이터를 계속 보유할 수 있다”고 적고 있다.

업계에선 중국 기업의 한국 진출이 확대되면 개인정보 유출 우려가 더욱 커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샤오미는 올해 1월 한국 지사를 세웠고, 세계 1위 전기차 업체 BYD도 올해 한국 진출을 공식 선언했다. 화웨이 역시 스마트워치, 프리미엄 이어폰을 출시하며 한국 침투를 확대하고 있다.

위로